본문 바로가기

Tips

불국사의 문

반응형

불국사는 신라 시대에 지어진 불교 사찰로, 불교의 중요한 교리와 철학을 체계적으로 담고 있는 사찰입니다. 불국사에는 여러 문들이 존재하며, 각 문은 불교의 깊은 상징과 철학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문을 지나면서 불자는 불법(佛法)을 실천하고, 깨달음자비의 길을 걷게 됩니다.

보통 절에서 부처님을 뵙기 위해서는 3개의 문을 지나야 합니다. 첫번째 문이 일주문 두번째 문이 천왕문 세번째 문이 불이 이문 을 거쳐 부처님을 모신 대웅전에 도달 합니다. 하지만 불국사의 경우 일반적인 절과 달리 2가지 길을 제시합니다.
일반적인 절과 똑같이 일주문과 천왕문을 지나고 난뒤 깨달음을 얻어 부처가 되는 성불로 가기 위해 자하문을 지나 부처님을 모신 대웅전으로 갈수 있는 길과 착한 업을 많이 쌓아서 극락으로 가는 극락왕생 으로 가기 위해 안양문을 지나 극락세계를 관장하는 아미타불을 모신 극락전으로 가는 길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불국사의 주요 문들인 일주문, 천왕문, 안양문, 해탈문(불이문), 자하문 등 여러 문들의 역사적 배경, 상징적인 의미, 그리고 그 문들이 불교 수행과 철학에서 어떤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일주문 (一柱門)

위치와 개념

일주문은 불국사의 첫 번째 문으로, 사찰의 입구에 해당합니다.

사찰에 들어서는 산문(山門) 중에서 첫번째의 문으로 일주(一柱)라는 명칭은 기둥이 한 줄로 되어 있는 데서 유래된 말입니다. 네 기둥[四柱]을 세우고 그 위에 지붕을 얹는 일반적인 가옥 형태와는 달리 일직선상의 두 기둥 위에 지붕을 얹는 독특한 형식으로 온갖 욕심을 버린 한가지 마음, 즉 일심(一心)을 상징한다 하겠습니다. 사찰에 들어서기 전 세속의 번뇌를 불법으로 깨끗이 씻고 진리의 세계를 향해 일심으로 들어오라는 의미입니다. 개인적 의견으로는 위에서 보면 상형문자 일( 一) 자모양으로 문을 만들어 하나의 마음을 의미한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불국사 일주문은 원래 자리는 아니지만 1973년 중창 때 진입의 편의를 위해 현 위치에 조성되었습니다.  조선시대 다포식 건축양식을 따르고 있는데 다른 사찰에 비해 규모가 큽니다.

의미와 상징

일주문은 불교적 세계관을 상징하는 문입니다. 사찰의 첫 번째 문을 지나며, 방문자는 속세의 번잡함과 고통에서 벗어나 불교의 신성한 세계로 들어간다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일주  (一柱) 하나의 기둥 이라는 뜻은 세속에서 벗어난 일심 외에도 불교에서 모든 것이 하나로 통합된 우주적 질서를 상징하며, 이 문을 지나면 세상의 모든 장애를 극복하고, 불교적 깨달음을 향해 나아가는 첫걸음을 내딛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이 문은 부처님이 지닌 무상(無常)과 일체(一切)의 진리를 깨닫기 위한 출발점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일주문을 지나면서 불자는 속세의 모든 근심과 번뇌를 떠나고, 불법의 세계로 나아간다는 마음가짐을 갖게 됩니다. 불국사에 들어가는 첫 번째 단계에서 이 문은 명상과 수행의 시작을 알리는 상징적인 문입니다.


 

 

 

2. 천왕문 (天王門)

위치와 개념

천왕문은 일반적으로 절에 주요 건물 중 하나인 대웅전이나 금강문 근처에 위치하며, 불국사의 입구를 대표하는 문 중 하나입니다. ‘천왕문’은 불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천왕을 모시는 문을 의미합니다. 사천왕은 불교에서 각 방향을 지키며 중생을 보호하는 신들로, 이 문을 통해 불자들은 사천왕의 보호를 받으며 신성한 공간에 들어간다는 상징을 지닙니다.

의미와 상징

천왕문은 불국사로 들어서기 전에 지나야 할 문으로, 사천왕의 보호와 인도를 받기 위한 입구입니다. 사천왕은 북쪽의 다문천왕(多聞天王), 서쪽의 광목천왕(廣目天王), 동쪽의 지국천왕(地祇天王), 남쪽의 증장천왕(增長天王)으로, 부처님 나라의 동서남북 각 방향을 수호하며 중생을 보호하고 있습니다. 이 사천왕들은 불법을 지키고 악을 물리치는 존재로, 천왕문을 지나면서 불자는 그들의 보호와 인도를 받으며 신성한 영역으로 들어갑니다.

 절마다 그당시 시대상과 맞물려 악귀를 상징적으로 만들어놨습니다. 임진왜란 당시 소실되었던 불국사의 경우 훈도시를 착용한 왜국의 모습의 악귀가 있고 통도사는 탐관오리, 고창 선운사는 부정한 악녀의 모습을 한 것이 유명합니다. 불국사의 가시면 악귀의 모습을 한번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또한 천왕문은 세상의 고통과 번뇌를 이겨내는 보호의 상징이기도 하며, 불자가 수행을 시작하기에 앞서 내면의 안정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3. 안양문 (安養門)

위치와 개념

아미타 부처님이 계시는 극락전으로 통하는 중문(中門)입니다. 연화교, 칠보교(국보 제22호)를 올라오면 이 문으로부터 아미타 부처님의 세계인 극락정토가 전개됩니다. ‘안양’이라는 이름은 ‘극락’을 뜻합니다.

751년 김대성이 불국사를 중창할 때 세워진 이 문은 1593년 임진왜란 때 타 버린 것을 1626년과 1737년에 중건했습니다. 현재 안양문은 정면3칸, 측면2칸으로 겹처마에 맞배지붕으로 되어있습니다. 1964년에 새로 지어진 건물로서 고려 건축양식을 채택하였고 강릉 객사문과 도갑사 해탈문을 참고했습니다.

의미와 상징

안양문은 평화롭고 편안한 불국사의 공간으로의 진입을 나타내는 문입니다. 이 문을 지나면서 불자는 속세의 고통과 번뇌에서 벗어나, 평화롭고 고요한 수행의 세계로 들어간다는 상징적 의미를 가집니다. 안양(安養)은 또한 미래의 극락세계인 서방정토(西方淨土)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이 문은 깨달음의 여정에서 안락함과 평화를 찾는 길을 상징하며, 불국사에서 경험할 수 있는 심적 평화안락함을 의미합니다.

불교에서 극락(淨土)은 수행자가 염불과 기도를 통해 성취할 수 있는 신성한 세계이며, 안양문은 그 극락세계로 향하는 문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불자는 모든 고통을 넘어서 평화와 행복을 추구하는 여정을 시작하는 상징적인 입구가 됩니다.


4. 해탈문 (解脫門), 불이문(不二門) 

위치와 개념

불이不二란 ‘진리는 둘이 아니다’는 뜻에서 유래합니다. 이곳을 통과해야만 진리의 세계인 불국토에 들어갈 수 있음을 상징합니다. 생과 사, 만남과 헤어짐, 부처와 중생이 다르지 않고 근원적으로 모두 하나입니다.

모든 분별을 떠나고 언어의 그물에도 걸리지 않는 절대의 경지를 상징으로 『유마경』에는 불이법문(不二法門)에 관한 이야기가 전해지기도 합니다. 불이(不二)의 뜻을 알게 되면 해탈에 이를 수 있다 해서 해탈문이라고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해탈문, 불이문은 매우 중요한 문으로 부처님을 모신 대웅전 을 가기 위한 중문입니다. 하지만 불국사에서는 대웅전을 가기 위한 문이 자하문입니다. ‘해탈’은 불교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고통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깨끗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해탈문은 해탈을 향한 첫걸음을 상징하는 문입니다.

의미와 상징

불교의 세계관에 따르면 수미산 정상에 들어서는 문으로 이곳을 통과하면 바로 도리천에 다다릅니다. 사찰에 따라서 이름이 다르기도 합니다. 교리적으로 보면 불국사에서는 자하문(紫霞門)이 불이문의 자리라고 보면 됩니다. 청운교와 백운교를 거치는데, 이들 다리의 계단은 모두 33개로 도리천의 33천을 상징적으로 나타냅니다. 이 문을 통과해야 부처의 세계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해탈문은 해탈(解脫), 즉 고통과 번뇌에서 벗어나 완전한 자유를 얻는 것을 상징하는 문입니다. 해탈은 불교의 궁극적인 목표인 열반(涅槃)에 이르는 중요한 개념으로, 세속적인 집착과 고통을 초월하여 진정한 자유와 평화를 얻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해탈문을 지나면서 불자는 자신의 내면을 깨끗하게 정화하고, 고통에서 벗어나 궁극적으로 깨달음에 이르기 위한 첫 발을 내딛는 것입니다.

해탈문은 불교 수행의 궁극적인 목표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불자는 모든 장애물을 넘고, 자신의 본래 성품을 되찾는 여정을 시작하게 됩니다. 이 문을 지나면서 불자는 속세의 집착과 고통을 넘어서, 완전한 자유깨달음의 길로 나아간다고 할 수 있습니다.


5. 자하문 (門)

위치와 개념

석가모니 부처님이 계시는 대웅전(大雄殿)으로 통하는 중문(中門). 백운교와 청운교를 올라오면 이 문으로부터 부처님의 나라가 전개됩니다. 일반적인 절에서는 자하문이 아닌 대웅전으로 가기위해 불이문을 지나게 되어 있으나 불국사의 경우 자하문을 지나 대웅전을 가도록 되어 있습니다. 자하문은 부처님의 몸에서 비추는 자금광(紫金光)이 안개처럼 서린문이라는 뜻입니다.건립 연대는 분명치 않으나 기단의 주춧돌과 신방석(信防石). 문지방돌 등이 통일신라시대(676년 이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므로, 이 문도 그 무렵에 건립되었을 것입니다. 그 후 1436년에 중수하였고, 임진왜란 때(1593년) 불타 버린 것을 1628년에 재건하였으며, 1630년에 중창하고, 1781년에 중건하여, 1966년에 크게 보수하였습니다. 넓은 석조(石造)기단(基壇) 위에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세워진 지금의 이 문은, 다포계(多包系)의 공포(栱包)를 짜 올린 팔각(八角) 지붕을 하고 있으며, 건축 양식은 조선 후기에 속합니다. 

의미와 상징

붉을 紫 안개 霞자 를 씁니다. 붉은 안개가 서려 있는 문이란 뜻입니다. 자하문 안쪽으로 가면 부처님을 모셔 놓은 대웅전이 있습니다. 자하문이란 이름은 아침 햇살을 받아 구품연지에서 피어오르는 안개와 부처님의 몸에서 나오는 자금광이 어우러져 있는 곳이란 뜻입니다. 


결론

 불국사에서의 문들은 단순히 출입구가 아니라 그 자체로 불교의 철학과 수행의 길을 보여주는 중요한 부분으로, 각 문을 지나며 신앙을 다지고, 수행을 다짐하는 여정이 펼쳐집니다. 천왕문은 사천왕의 보호와 인도를, 안양문은 평화롭고 안락한 수행의 길을, 해탈문은 고통에서 벗어난 자유와 깨달음을, 자하문은 자비와 구제의 마음을 상징합니다. 이들 문은 모두 불교의 핵심 개념을 표현하며, 불국사의 신성한 공간으로의 진입을 상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불국사를 방문하는 사람들은 각 문을 지나면서 불교의 교리와 수행의 의미를 되새기고, 그 가르침을 자신의 삶에 적용해 나가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들은 단순한 통로를 넘어서, 깨달음자비, 구원의 길로 안내하는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갖고 있으며, 불국사의 전체적인 영적 구조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