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식-맛집,음식소개 등

블루리본과 미슐랭 가이드 비교 차이

by 2mountains 2025. 7. 20.
반응형
 
 
 

블루리본이란?

미슐랭가이드 선정 맛집은 서울과 부산 지역으로만 한정되어 있습니다. 그 외지역은 미슐랭가이드에서 조사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그렇다고 다른 지역에 맛집이 없는건 아니죠 세계 여러나라 맛집을 다녀봤지만 한식의 다양함과 폭과 맛은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경기나 다른지역 맛집을 가고 싶을때 보는 기준으로 전 블루리본을 참고 합니다. 

 

블루리본 서베이는 대한민국 최초이자 대표적인 맛집 평가 가이드북입니다.
2005년부터 발행되고 있으며, 일반 소비자(독자)와 전문가의 평가를 바탕으로 전국의 다양한 레스토랑, 카페, 베이커리 등을 선정해 매년 책자와 웹사이트, 앱으로 정보를 제공합니다. 국내에서도 신뢰받는 맛집선정 기준으로 꼽히며, 선정된 레스토랑은 ‘블루리본’ 마크를 부착할 수 있습니다.

  • 평가 방식:
    다수의 일반인 평가와 내부 평가진의 의견을 종합하여 객관적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리본의 개수(1~3개)로 등급을 나눕니다.
    • 1개: 한 번쯤 다시 가봐도 좋은 곳
    • 2개: 주위에 추천할 만한 곳
    • 3개: 자신의 분야에서 뛰어난 솜씨를 보이는 곳
  • 특징:
    한국인의 입맛과 취향을 반영, 합리적 가격대부터 고급 레스토랑까지 폭넓게 선정
    전국의 다양한 장소의 맛집 수록
    일반 대중 의견이 반영되어 대중적인 신뢰도가 높음

블루리본과 미슐랭의 비교

구분 블루리본 서베이 미슐랭 가이드
기원/역사 2005년 국내 최초 맛집 평가서, 한국 중심 1900년 프랑스 미슐랭 타이어사 시작, 전 세계적 출판
평가 방식 주로 소비자(일반인) + 내부 미식가 의견 반영 선정된 ‘익명 전문가 평가원’ 엄격 심사
평가 기준 맛, 서비스, 분위기, 가격 대비 만족도, 창의성/전통성 맛, 재료, 요리법, 창의성, 일관성, 서비스 등
등급 체계 리본(1~3개): 많을수록 추천 가치 ↑ 별(★,★★,★★★): 높을수록 전 세계 최고 수준
대표 선정 범위 한식·양식·베이커리·대중적 가게부터 고급 레스토랑까지 주로 파인다이닝, 고급 레스토랑(최근엔 대중 식당 포함)
지역 범위 대한민국 전체 전 세계(서울·부산 등 국내 일부 대도시만)
대중성과 신뢰도 국민 참여형 데이터로 대중 친화적, 실생활에 유용 미식 전문가 중심, 글로벌 명성 및 권위
 

주요 차이점 요약

  • 블루리본 서베이는 소비자 중심, 한국 전역 식당 정보, 다양한 장르와 가격대의 맛집, 국민 의견을 반영해 선정
  • 미슐랭은 서울 부산만 있음. 다른 지역에선 맛집을 찾고 싶으면 블루리본을 참고하는게 좋음. 
  • 미슐랭 가이드는 엄격한 전문가 기준, 파인다이닝 중점, 별 개수로 세계 최고 미식 경험을 평가
  • 블루리본이 “한국의 미슐랭”으로 불리기도 하나, 선정 방식·대상·권위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습니다.

“블루리본은 한국인의 입맛과 라이프스타일에 맞춘 신뢰도 높은 국민 맛집 가이드,
미슐랭은 세계적인 전문가 평가의 미식 기준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