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사회,문학/한국사

조선과 고려의 가장 큰 차이점

by 2mountains 2025. 2. 9.
반응형

조선과 고려의 가장 큰 차이점

고려(918~1392)와 조선(1392~1897)은 한반도의 대표적인 왕조로, 각 시대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군사 등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조선이 고려를 계승한 측면도 있지만, 근본적인 통치 이념과 제도, 사회 구조, 문화 등에서 상당한 차이점이 존재합니다.

본 글에서는 고려와 조선의 가장 큰 차이점을 정치, 경제, 사회, 외교, 군사, 문화, 신분제 등 다양한 측면에서 상세히 비교하여 설명하겠습니다.


1. 정치 제도의 차이

고려와 조선은 기본적으로 왕이 국가를 통치하는 군주제 국가였지만, 그 운영 방식과 정치 이념에 차이가 있었습니다.

1.1 통치 이념: 불교 vs 성리학

구분고려조선

통치 이념 불교 국가 성리학 국가
정치 철학 왕권과 신권(귀족 중심 정치) 조화 왕권 중심에서 점차 신권 강화 (유교적 명분 강조)
  • 고려는 불교를 국교로 삼아 왕과 귀족이 불교를 적극 후원하며 통치의 중심 사상으로 활용했습니다.
  • 조선은 불교를 배척하고 성리학을 국가 운영의 핵심 이념으로 삼았습니다.
    • 성리학은 유교적 윤리관을 강조하며, 임금은 도덕적으로 모범이 되어야 하고, 신하는 충성을 다해야 한다는 원칙을 세웠습니다.

1.2 정치 체제: 귀족 정치 vs 관료제

구분고려조선

정치 체제 문벌 귀족제 → 무신정권 → 권문세족 정치 유교적 관료제(왕도 정치 + 신권 견제)
왕권 강화 왕권이 강하지만 귀족(문벌) 세력에 의해 견제됨 초반 강력한 왕권, 이후 신권(사대부)에 의해 견제
  • 고려는 **문벌 귀족 정치(과거 합격자와 가문 중심)**가 중심이었고, 이후 무신정권과 권문세족이 실권을 잡았습니다.
  • 조선은 **유교적 관료제(사대부 정치)**를 도입해 왕권과 신권 간의 균형을 중시했으며, 권력 독점을 방지하기 위해 삼사(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등 언론기관을 운영했습니다.

1.3 중앙 정치 기구

구분고려조선

최고 행정 기구 중서문하성, 상서성 의정부
왕권 견제 기관 어사대, 중서문하성 낭사 삼사(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군사 기구 도병마사, 식목도감 비변사 (16세기 이후)
  • 고려는 귀족 중심의 합의 정치를 운영했으며, 왕이 독단적으로 국정을 운영하기 어려웠습니다.
  • 조선은 초기에는 왕권을 강화했지만, 점차 신하들이 정책을 논의하는 의정부와 삼사(언론기관)의 견제 역할이 중요해졌습니다.

2. 신분제도 및 사회 구조의 차이

고려와 조선의 신분제도는 상당히 다른 형태를 보였습니다.

구분고려조선

신분제 양인(귀족, 중류층, 평민) + 천민 사농공상(양반, 중인, 상민, 천민) 체제 확립
지배층 문벌귀족 → 권문세족 사대부(양반) 중심
과거제 귀족(문벌) 중심의 과거제 양반만이 과거 응시 가능(실질적 신분제 강화)
  • 고려는 신분이 비교적 유동적이었고, 과거를 통해 일반 백성이 고위 관리가 될 가능성도 있었습니다.
  • 조선에서는 양반 계층이 과거를 독점하면서 신분 상승이 더욱 어려운 폐쇄적인 사회가 되었습니다.

3. 경제 구조의 차이

3.1 토지 제도

구분고려조선

토지제도 전시과(관료들에게 토지를 지급) 과전법 → 직전법 → 녹봉제
경제 구조 농업 중심, 상업 발달 농업 중시, 상업 억제
  • 고려의 전시과 제도는 관리들에게 토지를 나눠주었지만, 세습이 제한적이었습니다.
  • 조선은 과전법을 시행했지만, 점차 왕권이 강화되면서 관리들에게 지급되는 토지를 줄이고 녹봉(급료) 제도로 전환했습니다.

3.2 상업과 수공업

  • 고려는 국제 무역(송, 몽골, 아라비아 상인 등)과 국내 상업이 발달했지만,
  • 조선은 성리학적 이념(농본주의)으로 인해 상업과 수공업을 억제했습니다.
    • 이는 조선 후기 실학자들이 상공업 진흥을 주장하는 배경이 되었습니다.

4. 외교 정책의 차이

구분고려조선

대외 관계 송, 거란, 여진, 몽골과 대립 명·청과 사대 관계
외교 정책 북방 정벌(여진, 거란과 전쟁) 친명 정책 → 북벌론 → 현실적 외교
  • 고려는 송과 친선 관계를 맺고, 거란·여진과의 전쟁을 지속했습니다.
  • 조선은 초기에는 명나라와 사대 외교를 맺었으며, 후에는 청나라와 외교 관계를 형성했습니다.

5. 군사 제도의 차이

구분고려조선

군사 조직 2군 6위 체제, 별무반(여진 정벌) 5군영 체제(훈련도감, 어영청 등)
국방 전략 국경 방어, 북방 진출 중앙군 강화, 방어 중심
  • 고려는 북방의 거란·여진과의 전쟁을 대비해 별무반과 같은 특수 군사 조직을 운영했습니다.
  • 조선은 왜구와 북방 오랑캐(여진, 후금)의 침입에 대비하여 훈련도감, 어영청 등 중앙군을 강화했습니다.

6. 문화와 종교의 차이

구분고려조선

종교 불교 중심 성리학 중심
문화 귀족 문화 발달, 불교 건축 및 유산(팔만대장경) 유교 문화 발달, 성리학 중심의 교육(서원)
  • 고려는 불교를 국가의 중심으로 삼았고, 화려한 불교 사찰과 경전(팔만대장경)이 제작되었습니다.
  • 조선은 불교를 억제하고 성리학을 중심으로 삼았으며, 서원(교육 기관)과 유교 경전이 중시되었습니다.

결론: 고려와 조선의 핵심 차이

고려는 불교 중심의 귀족 정치였던 반면, 조선은 성리학 중심의 유교 국가로 발전하였습니다.

  • 고려는 상대적으로 개방적이고 유동적인 사회였으나,
  • 조선은 양반 중심의 폐쇄적인 신분제 사회로 변화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한반도의 역사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까지도 그 유산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