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정보/기술적 분석

추세를 파악하는 방법

by 2mountains 2025. 1. 14.
반응형

추세(Trend)란 무엇인가?

추세는 금융시장에서 가격이 일정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추세를 이해하고 분석하면 투자와 거래에서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추세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됩니다:

  1. 상승 추세: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우.
  2. 하락 추세: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경우.
  3. 횡보 추세: 가격이 일정 범위 내에서 움직이며 방향성이 없는 경우.

추세를 올바르게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과 도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제 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1. 이동평균선으로 추세 확인하기

이동평균선(Moving Average)은 일정 기간 동안의 평균 가격을 계산하여 선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이는 가격의 전반적인 방향을 보여주는 가장 기본적인 도구입니다.

사용 방법:

  • 단기 이동평균선(5일, 10일): 최근 가격 변화를 빠르게 반영합니다.
  • 장기 이동평균선(50일, 200일): 보다 큰 흐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시:

  • A 주식의 10일 이동평균선이 50일 이동평균선을 위로 돌파하면 상승 추세 신호입니다. 이를 골든 크로스라고 합니다.
  • 반대로 10일 이동평균선이 50일 이동평균선을 아래로 돌파하면 하락 추세 신호이며, 이를 데드 크로스라고 합니다.

쉽게 이해하기:

  1. 주가가 이동평균선 위에 있다면 상승 추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주가가 이동평균선 아래에 있다면 하락 추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2. 고점과 저점의 변화를 관찰하기

추세는 고점과 저점의 움직임으로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상승 추세: 고점과 저점이 이전보다 계속 높아집니다.
  • 하락 추세: 고점과 저점이 이전보다 계속 낮아집니다.
  • 횡보 추세: 고점과 저점이 일정한 범위 안에서 움직입니다.

예시:

  • B 주식이 100원에서 120원, 140원으로 고점을 높이고, 저점도 90원에서 110원, 130원으로 높아지는 경우 상승 추세로 볼 수 있습니다.
  • 반대로 C 주식이 200원에서 180원, 160원으로 고점이 낮아지고, 저점도 190원에서 170원, 150원으로 낮아지면 하락 추세입니다.

팁:

고점과 저점의 변화를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 차트에 선을 그려보면 더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3. 추세선 그리기

추세선을 그리면 추세를 시각적으로 명확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방법:

  1. 상승 추세에서는 저점을 연결하여 추세선을 그립니다.
  2. 하락 추세에서는 고점을 연결하여 추세선을 그립니다.

예시:

  • D 주식이 100원, 120원, 140원의 저점을 찍었다면 이 저점들을 연결한 선이 상승 추세선입니다.
  • 반대로 E 주식이 200원, 180원, 160원의 고점을 기록했다면 이 고점들을 연결한 선이 하락 추세선입니다.

팁:

추세선이 깨지면 기존 추세가 약화되거나 반전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를 거래 신호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4. 기술 지표 활용하기

기술 지표는 추세를 확인하고 강도를 측정하는 데 유용합니다.

주요 지표:

  1. MACD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 두 이동평균선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MACD 선이 시그널 선을 위로 돌파하면 상승 추세 신호입니다.
  2. RSI (Relative Strength Index)
    • 가격의 과매수와 과매도 상태를 나타냅니다.
    • RSI가 70 이상이면 과매수 상태로 하락 추세가 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 RSI가 30 이하이면 과매도 상태로 상승 추세가 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3. ADX (Average Directional Index)
    • 추세의 강도를 측정합니다.
    • ADX 값이 25 이상이면 강한 추세로 볼 수 있습니다.

5. 캔들 패턴 분석하기

캔들 차트는 가격 움직임을 시각적으로 나타낸 도구로, 추세를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주요 패턴:

  1. 강세 신호:
    • 망치형(Hammer): 하락세에서 나타나면 상승 반전 가능성.
    • 상승 장악형(Bullish Engulfing): 하락세 이후 큰 양봉이 나타나면 상승 신호.
  2. 약세 신호:
    • 유성형(Shooting Star): 상승세에서 나타나면 하락 반전 가능성.
    • 하락 장악형(Bearish Engulfing): 상승세 이후 큰 음봉이 나타나면 하락 신호.

예시:

F 주식이 하락세에서 망치형 캔들이 나타난 후 상승세로 전환되었다면, 망치형이 상승 반전 신호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거래량 확인하기

거래량은 추세의 강도를 확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상승 추세에서 거래량이 증가하면 강한 상승 신호입니다.
  • 하락 추세에서 거래량이 증가하면 강한 하락 신호입니다.

예시:

G 주식이 100원에서 120원으로 상승할 때 거래량이 급격히 증가했다면, 이는 상승 추세가 강하다는 신호입니다. 반대로, 거래량이 줄어들면 상승 추세가 약화될 수 있습니다.


7. 다양한 시간대 활용하기

시간대에 따라 추세의 성격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단기 추세: 1분, 5분, 15분 차트를 사용.
  • 중기 추세: 1시간, 4시간 차트를 사용.
  • 장기 추세: 일봉, 주봉 차트를 사용.

예시:

  • 단기적으로 상승 추세를 보이는 H 주식이, 장기적으로는 하락 추세에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러 시간대를 함께 분석해야 합니다.

정리

추세를 보는 방법은 다양하며, 각각의 방법을 조합하여 사용하면 더 정확한 분석이 가능합니다. 추세를 이해하는 데는 연습과 경험이 필요하지만, 위의 방법들을 실전에서 적용해 보면 더욱 익숙해질 수 있습니다.

문제는 추세 중인건 그래도 파악이 되는데 전환되는 시점을 알기가 쉽지 않습니다. 
예를 들면 상승추세일때 저점 라인을 유지할 때 진입시점이 되지만 반대로 그 저점라인을 깨고 추세 전환이 되기 때문에 저점 라인 부근은 매수 타이밍이 될 수도 있지만 하락의 시작이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때는 손절라인을 정하고 진입을 해야 합니다. 그러다 손절되고 바로 상승하는 괴로운 상황이 올 수도 있긴 합니다. 매매가 쉽지 않은 게 그런 것입니다. 

때문에 손절라인을 잡는 방법과 지금이 매수타임인지 추세 전환의 시작인지를 파악할수 있어야 합니다. 

그것 뒤에 따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