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정보/기술적 분석

손절가격 정하는 방법

by 2mountains 2025. 1. 14.
반응형

손절라인(Stop Loss)을 잡는 것은 거래에서 위험을 관리하고 자본 손실을 최소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손절라인 설정 방법은 개인의 투자 성향, 시장 상황, 거래 전략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원칙을 따릅니다.

익절 가격 정하는 방법도 있으니 함께 참고 부탁드립니다. 


1. 자본 손실 한도를 기반으로 설정

  • 전체 계좌 기준: 계좌의 총자본에서 손실 가능한 비율을 정합니다. 예를 들어, 한 거래에서 계좌 자본의 1~2% 이상을 잃지 않도록 손절라인을 설정합니다.
    • : 계좌 자본이 1,000만 원일 경우, 1% 손실은 10만 원, 2%는 20만 원입니다.

2. 기술적 분석을 활용한 설정

  • 지지선과 저항선: 지지선이 무너질 경우 추가 하락 가능성이 있으므로, 지지선 바로 아래에 손절라인을 설정합니다.
  • ATR(평균 진폭 범위): ATR 값을 활용해 변동성을 고려한 손절라인을 정합니다.
    • : 최근 변동성이 큰 종목은 더 넓은 손절 범위를, 변동성이 낮은 종목은 좁은 손절 범위를 적용합니다.
  • 차트 패턴 기반: 주요 패턴의 붕괴 지점을 기준으로 손절라인을 설정합니다(예: 삼각형 패턴, 헤드 앤 숄더 패턴 등).

3. 고정 금액 또는 고정 비율

  • 거래 금액의 일정 비율을 손실로 감수합니다.
    • : 매수 금액의 3% 손실 발생 시 손절.

4. 시간 기반 손절

  • 특정 시간 동안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거래를 종료합니다.
    • : 하루 동안 목표 가격에 도달하지 않으면 손절.

5. 뉴스 이벤트와 시장 상황 반영

  • 예측 불가능한 뉴스나 이벤트로 인해 급격한 시장 변화가 예상될 경우 손절라인을 더 넓히거나 좁힐 수 있습니다.
  • 중앙은행의 금리 발표, 경제 지표 발표 등을 고려합니다.

6. 심리적 요인 고려

  • 계획된 손절 준수: 정한 손절라인을 철저히 따르며 감정적인 결정을 피해야 합니다.
  • 과잉 방어 방지: 지나치게 촘촘하게 손절라인을 설정하면 작은 변동에도 거래가 종료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폭을 유지합니다.

 

7. 지지선 & 저점을 활용한 손절 예시

실전에서 보다 도움을 주고자 차트표시를 했습니다. 

손가락 표시가 있는 지지선 에서 반등한 양봉에 진입했을 경우 손절라인 잡는 방법입니다. 

차트에서 파란색 선이 저점을 연결한 상승추세 지지선이고 흰색실선이 손절라인입니다. 
손절라인을 전저점에 잡았습니다.
 파란색 지지선이 깨져도 바로 하락 추세가 아니라 횡보로 갈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될 경우 박스권형성은 전저점부근에서 나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전저점도 깨져버리면 박스권이 아니라 하락추세로 전환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전저점으로 잡은 겁니다. 
여기서 파란색 선을 지키면서 상승할경우 상승추세 유지 해서 상승수익을 줄 수 있고 파란색 선을 깨고 하락하더라도 전저점 반등해 주면 박스권 유지 해서 박스상단에서 매도 기회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박스 깨고 하락추세 전환하면 현재 포지션을 청산하고 매수가 아닌 매도로 변경해야 합니다. 
하락추세의 경우는 고점 연결하고 전고점을 기준해서 지금의 반대로 진행하면 됩니다. 


결론

손절라인은 거래 전략의 핵심이며, 자신의 거래 스타일과 시장 특성을 반영하여 신중하게 설정해야 합니다. 손절을 지키는 규율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가져올 수 있는 기반이 됩니다.

사족으로 달자면 개인적으로 저는 뉴스 전후는 가급적으로 매매를 하지 않습니다. 뉴스가 호재여도 나쁘게 반영되고 악재여도 좋게 반영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측하지 않고 결과를 보고 따라가는 게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외에도 익절 가격정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도 있으니 보시고 싶으신 분은 
클릭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