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87

아이들 스스로 혼자서 책을 볼수 있게 만드는 방법 나는 왜 혼자 책을 읽었는가 – 그리고 어떻게 아이도 그렇게 될 수 있는가독서의 중요성은 솔직히 이제 더 말할 필요도 없다. 누가 뭐래도 읽는 아이가 결국은 이기게 되어 있다. 입시든, 인생이든.나는 그걸 아주 어릴 때부터 체감했던 케이스다. 초등학교 때 고등학교 수학을 다 끝냈고, 그 당시에 이름 있던 A급 수학 문제집(하얀색 표지, 아는 사람은 안다)을 풀 정도였다. 올림피아드 문제집도 ‘검정색’으로 기억되는 최극상 문제집을 중학교에 봤었고, 물리, 수학 올림피아드 2개 다 나갔었다.99년부터 수능이 쉬워져서 한 반에 수학 만점자가 수명씩 나오지만 98까지는 전국 모의고사에서 수학 만점자 가 없는 경우가 잦았다. 80점 만점에 수학 반 평균이 20점대 정도였다. 그런데 나는 중학교 때 이미 수능 수학.. 2025. 5. 24.
20250523 매불쇼 시네마지옥 주말 추천작 2020년 매불쇼 시네마지옥 주말 추천작 모음 - 바로가기2021년 매불쇼 시네마지옥 주말 추천작 모음 - 바로가기2022년 매불쇼 시네마지옥 주말 추천작 모음 - 바로가기2023년 매불쇼 시네마지옥 주말 추천작 모음 - 바로가기2024년 매불쇼 시네마지옥 주말 추천작 모음 - 바로가기2025년 매불쇼 시네마지옥 주말 추천작 모음 - 바로가기 라이너 - 부정선거, 신의 작품인가 (2025)《부정선거, 신의 작품인가》는 2025년 공개된 다큐멘터리 영화입니다. 하지만 다큐멘터리임에도 논리도 없고 증거도 없고 진실도 없는 말도 안되는 영화 입니다. 최근 한국 사회에서 논란이 된 부정선거 음모론을 전면적으로 다룹니다. 이영돈 PD와 전한길 전직 한국사 강사가 제작·기획했으며,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직접.. 2025. 5. 24.
변동성과 수익률의 관계 사람들이 흔히 하는 착각중에 변동성이 높으면 리스크와 수익률이 높아지지 않을까? 란 생각을 하는데. 그건 파생이 아닌 현물에서의 이야기. 파생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 파생의 경우 청산이슈가 있기 때문에 목표 수익률을 오히려 낮게 잡아야 하거나 홀딩 하는 시간을 짧게 가져가야함. 변동성이 심하다는건 한방향으로 갈때 방향이 크게 움직인다란 의미가 아니다. 그건 변동성이 크다가 아니라 추세로 크게 움직인다고 함. 변동성이 크다는건 위아래 진폭이 크고 상승추세에서도 하락으로 눌림이 크고 반대로 하락에서도 상승으로 변동이 크다는 것임. 즉 맞는 추세 방향을 잘잡고 있어도 반대로 튀어 오르는 변화가 크기 때문에 반대 매매 당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언제 수익중인 포지션이 손실로 전환될지 모르고 심지어 청산되고.. 2025. 5. 18.
20250516 매불쇼 시네마지옥 주말 추천작 2020년 매불쇼 시네마지옥 주말 추천작 모음 - 바로가기2021년 매불쇼 시네마지옥 주말 추천작 모음 - 바로가기2022년 매불쇼 시네마지옥 주말 추천작 모음 - 바로가기2023년 매불쇼 시네마지옥 주말 추천작 모음 - 바로가기2024년 매불쇼 시네마지옥 주말 추천작 모음 - 바로가기2025년 매불쇼 시네마지옥 주말 추천작 모음 - 바로가기 최광희 - 그 자연이 제게 뭐라고 하니 (2025)《그 자연이 제게 뭐라고 하니》는 홍상수 감독이 각본과 연출, 촬영, 편집까지 맡은 2025년 한국 드라마 영화입니다. 제75회 베를린 국제영화제 황금곰상 경쟁후보작으로 선정될 만큼, 미니멀한 대사와 자연 속 일상, 인물 간의 미묘한 감정을 섬세하게 포착하는 홍상수 감독 특유의 스타일이 살아 있습니다. 자연의.. 2025. 5. 16.
위버멘쉬 - 니체 위버멘쉬 - 니체 1. 결국 남는건 행동이다. 2. 흔들릴수록 더 멀리 봐라 3. 감정을 다스리는 사람이 이긴다. 4. 내 속도를 믿어라. 니체의 대표작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와 위버멘쉬 관련 주요 저서들의 내용을 바탕으로, 위버멘쉬 개념의 철학적 의미, 주요 주제, 그리고 현대적 적용까지 상세하게 정리해보자 1. 위버멘쉬(초인)란 무엇인가?1.1. 개념의 탄생과 배경위버멘쉬는 독일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Nietzsche)가 그의 대표작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Also sprach Zarathustra)』에서 처음으로 본격적으로 제시한 개념입니다. 니체는 19세기 말, 유럽 사회가 전통적 가치와 종교적 신념(특히 기독교적 세계관)에서 벗어나면서 생긴 ‘가치의 공백’에.. 2025. 5. 11.
자신을 이해함으로서 타인을 이해할 수 있다: ‘아기공룡 둘리’와 고길동을 통해 깨달은 성장의 시선 초등학교 때에는 이해력이 높다면 책을 읽어 얻는 지식은 똑같을거라 생각했었다. 나이를 먹어서나 어려서나 큰차이는 없을 것이다 그러니 같은 책을 읽는 것보단 다른 여러종류의 책을 읽는게 더 좋을거라 생각했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달과 6펜스 어린왕자 노인과 바다 죄와벌등의 책을 다시 읽으면서 생각이 달라졌다. 나이와 경험, 그리고 내 마음의 변화에 따라 같은 이야기도 전혀 다르게 느껴진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이런 공감을 모두가 분명히 했을것인데 멀리서 찾지 않고 전국민이 공감할만한 컨텐츠가 있으니 '아기공룡 둘리' 라는 만화 어릴 적에는 둘리가 주인공이었고, 고길동은 착한 둘리를 괴롭히는 나쁜 어른으로만 보였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다시 아기공룡 둘리를 보게 되었을때, 고길동이 오히려 철없는 둘리와.. 2025. 5. 10.